반응형
코틀린은 컴파일 시 타입을 체크하는 강타입 언어 이다
1. 타입(Type)
코틀린에서는 원시 타입(Primitive Type)을 사용하지 않는다
객체 타입으로만 처리한다
정수 타입
- Int, Byte, Short, Long
실수 타입
- Float, Double
문자 타입
- Char
불리언 타입
- Boolean
문자열 타입
- String
2. 변수
코틀린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var과 val로 두가지가 있다
var(variable)의 경우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있다
// var 변수의 값 변경 예시
var a:Int = 10 // 변수 a를 선언하면서 10으로 초기화
a = 20 // 변수 a에 저장된 값을 20으로 변경
val(value)은 상수로 선언 시 값을 초기화하고 이후 값을 변경 할 수 없다(상수 이기 때문)
// val 상수 값 변경 불가능 예시
val b = 10 // 상수 b를 선언하고 값을 10으로 초기화, 타입 추론으로 Int타입 명시 생략
b = 20 // 상수 b의 값을 20으로 변경하려고 함으로 컴파일 불가능
타입 추론
코틀린의 경우 타입 추론을 지원한다
그렇기 때문에 대입하는 값에 따라 선언 시점에 타입이 지정된다(선언시 지정된 타입은 이후 변경되지 않음)
// 타입추론 예시
val a:Int = 10 // 타입을 Int로 명시
val a = 10 // 타입을 생략했으나 타입 추론에 의해 Int
반응형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otlin 기본 문법 정리 - 클래스(Class) (0) | 2025.07.21 |
---|---|
Kotlin 기본 문법 정리 - 함수 (0) | 2025.07.18 |
Gradle 개념과 역할 (0) | 2025.07.15 |
Redis 개념 정리 및 Spring 활용 (0) | 2025.07.15 |
[DB] S/X Lock (0) | 2025.06.24 |